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을 쓰게 된다.
따라서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뜻이다.
- 무소유-

나 자신의 인간 가치를 결정짓는 것은
내가 얼마나 높은 사회적 지위나 명예 또는
얼마나 많은 재산을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나 자신의 영혼과 얼마나 일치되어 있는가이다.
- 홀로 사는 즐거움 -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때일 뿐, 그러나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아름다움이다.
- 버리고 떠나기-

내 소망은 단순하게 사는 일이다.
그리고 평범하게 사는 일이다.
느낌과 의지대로 자연스럽게 살고 싶다.
그 누구도,내 삶을 대신해서 살아줄 수 없기
때문에 나는 나 답게 살고 싶다
- 오두막 편지-

빈마음이 곧 우리들의 본 마음이다.
무엇인가 채워져 있으면 본 마음이 아니다.
텅 비우고 있어야 거기 울림이 있다.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 있 는 것이다.
- 물소리 바람소리-

사람은 본질적으로 홀로일 수밖에 없는 존재다.
홀로 사는 사람들은 진흙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살려고 한다.
홀로 있다는 것은 물들지 않고 순진무구하고
자유롭고 전체적이고 부서지지 않음을 뜻한다.
- 홀로 사는 즐거움-

우리 곁에서 꽃이 피어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생명의 신비인가.
곱고 향기로운 우주가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
잠잠하던 숲에서 새들이 맑은 목청으로 노래하는 것은
우리들 삶에 물기를 보태주는 가락이다.
- 산방한담 -

행복은 결코 많고 큰 데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작은 것을 가지고도 고마워하고
만족할 줄 안다면 그는 행복한 사람이다.
여백과 공간의 아름다움은 단순함과 간소함에 있다.
- 홀로 사는 즐거움 -

가슴은 존재의 핵심이고 중심이다.
가슴 없이는 아무것도 존재할 수 없다.
생명의 신비인 사람도,다정한 눈빛도,
정겨운 음성도 가슴에서 싹이 튼다.
가슴은 이렇듯 생명의 중심이다.
- 오두막 편지-

나는 누구인가.스스로 물으라.
자신의 속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묻고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귀 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있다.
- 산에는 꽃이 피네 -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전 존재를 기울여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이 다음에는 더욱 많은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다.
다음 순간은 지금 이 순간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지금이 바로 그때이지 시절이 달로 있는 것이 아니다.
- 봄 여름 가을 겨울 -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 산에는 꽃이피네 -

버리고 비우는 일은 결코 소극적인 삶이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버리고 비우지 않고는 새것이 들어설 수 없다.
공간이나 여백은 그저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과 여백이 본질과 실상을 떠받쳐주고 있다.
- 버리고 떠나기-
쌀쌀한 날씨에 기온차도 심합니다 건강 유념 하시고 온 가정에 사랑과 행복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촌철살인의 교훈과 비판의 멋
1, 말 하기 죠타 하고 남의 말을 마를 거시 남의 말 내 하면 남도 내 말 하는 거시 말로셔 말이 만흐니 밀 마롬이 죠해라
-작가미상,[한국시조대사전] 1430
2, 거울을 닦으면서 생각을 닦습니다. 생각을 닦으면서 눈물을 닦습니다. 내 눈에 눈물 나게 한 아아 그도 지웁니다.
-허일,[거울을 닦으며] 전문
3, 난 싫어 흙 밖에는 꿈에도 생각 안 해 쌀 한 톨이 무서워서 벌벌 떨고 살망정 한 생애 강 건너 불빛 훔쳐 보도 않는다.
-김명호, [형님] 전문.
4, 공정거래 위원회엔 공정거래가 없다. 기름진 펜과 인장만 있다. 사람 간 오가는 정도 권위 아래 팔린다.
-강성효[공정거래 위원회] 전문.
글 1은 고시조로서 말조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화종구출[禍從口出] 이라는 금언을 떠올리는 이 시조는 ‘말’의 연속적 반복으로 인한 강조와 리듬감으로 시적 분위기를 드러내면서 말을 함부로 하거나 말 많은 사람들에게 정곡을 찔러주는 경계심을 부여해 주고 있어 교훈성이 짙다.
글 2는 거울을 닦는 행위를 서정적 자아의 마음을 정화 내지 순화시ㅣ는 것과 동일시하여 시상을 전개해 나간 단시조로서, 각 장 말미의 ‘~습니다’의 반복적 운율감은 시조로서의 음악성을 살려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정화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생각’ - ‘눈물’ - ‘눈물 나게 한 그’는 의미의 점층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데‘ 스스로를 위로하고 슬픔을 접으면서 축적된 증오심마저 지워버리려는 시적 자아의 君子적 태도가 교훈과 감동을 준다.
글 3은 소박하게 향토적인 삶을 영위하고 있는 형님을 내세워 불빛 번쩍이는 혼탁한 소돔 땅, 즉 ‘강 건너 불빛’을 그리워하며 허황된 꿈을 갖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우회적으로 꼬집고 있다.
글 4는 사무적인 시어들의 나열로 자칫 진부함을 느낄 수도 있다 하겠으나, 시상의 전개 내용은 참신하다. 예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권위 아래 팔려나가는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성을 풍자적으로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글들은 독자들에게 분명한 삶의 지표와 메시지를 던져주고, 때론 따끔한 경계심을 전달해 주기도 하기에 시의 효용론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용하다. 작가들은 일상생활의 체험을 통하여 우연히 발견한 일상 문제들에서 이렇게 의미를 부여해 가면서 비판과 교훈적 주제의 창작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