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국지색~중국5대 미인
木 : 동쪽의 미인 서시. 오왕 부차의 넋을 빼 나라의 멸망을 몰고 온 경국지색.
火 : 한나라 황후를 지냈던 날씬미녀의 대명사. 조비연. 불꽃처럼 살다간 미인.
土 : 삼국지연의의 진정한 히로인. 여포와 동탁 사이를 연환계로 갈라놓았던 열사 초선!
金 : 성군 현종의 넋을 빼 안사의 난을 유발시킨 촉매제! 서쪽의 미인 양귀비.
水 : 흉노의 왕도 반한 중국 한나라 최고의 미인. 북쪽의 미인. 왕소군!!
*중국5대미인*
◆ 서시(西施)"침어(沈魚)" 서시의 미모에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조차 잊은 채 물밑으로 가라앉았다
춘추(春秋)전국(全國)시대(時代)의"서시(西施)"는 춘추(春秋)말기(末期)의 월(越)나라의 여인(女人)이다.
어느 날 그녀는 강변(江邊)에 있었는데 맑고 투명(透明)한 강물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冒襲)을 비추었다.
수중(水中)의 물고기가 수영(水泳)하는 것을 잊고 천천히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
그래서 서시(西施)는 침어(浸魚)라는 칭호(稱號)를 얻게 되었다.
서시(西施)는 오(吳)나라 부차(夫差)에게 패(敗)한 월왕(越王)구천(勾踐)의 충신(忠臣)범려가 보복(報復)을
위(爲)해 그녀에게 예능(藝能)을 가르쳐서 호색가(好色家)인 오왕(吳王)부차(夫差)에게 바쳤다.
부차(夫差)는 서시(西施)의 미모(美貌)에 사로 잡혀 정치(政治)를 돌보지 않게 되어
마침내 월(越)나라에 패망(敗亡)한다.
◆ 왕소군(王昭君)"낙안(落雁)"왕소군(王昭君)의 미모(美貌)에 기러기가
날갯짓 하는 것조차 잊은 채 땅으로 떨어졌다
한(漢)나라 왕소군(王昭君)은 재주(才操)와 용모(容貌)를 갖춘 미인(美人)이다. 한나라 원제(元帝)는 북쪽의
흉노(匈奴)와 화친(和親)을 위(爲)해 왕소군(王昭君)을 선발(選拔)하여 선우와 결혼(結婚)을 시킨다.
집을 떠나는 도중(途中)그녀는 멀리서 날아가고 있는 기러기를 보고 고향(故鄕)생각이 나서 금(琴)을
연주(演奏)하자 한 무리의 기러기가 그 소리를 듣고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땅으로 덜어졌다.
이에 왕소군(王昭君)은 낙안(落雁)이라는 칭호(稱號)를 얻었다.
◆ 초선(貂嬋)"폐월(閉月)"초선(貂嬋)의 미모(美貌)에 달도 부끄러워서 구름 사이로 숨어 버렸다
초선(貂嬋)은 삼국지(三國志)의 초기(初期)에 나오는 인물(人物)로 한나라 대신(大臣)왕윤(王允)의
양녀(養女)인데, 용모(容貌)가 명월(明月)같았을 뿐 아니라 노래와 춤에 능(能)했다.
어느 날 저녁 화원(花園)에서 달을 보고 있을 때에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렸다.
이것을 본 왕윤(王胤)이 말하기를"달도 내 딸에게는 비할 수가 없구나.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고
하여 이때부터 초선(貂嬋)은 폐월(閉月)이라고 불리기 시작(始作)했다. 초선貂嬋은 왕윤(王胤)의 뜻을 따라
간신(奸臣) 동탁(董卓)과 여포(呂布)를 이간(離間)질시키며 동탁(董卓)을 죽게 만든 후(後)에
의(義)로운 목숨을 다한다.
◆ 양귀비(楊貴妃)"수화(羞花)"양귀비(楊貴妃)의 미모(美貌)에 꽃도 부끄러워서 고개를 숙였다
당대(唐代)의 미녀(美女)양옥환(楊玉環)은 당명황(唐明皇)에게 간택(簡擇)되어져 입궁(入宮)한 후(後)로
하루 종일(終日)우울(憂鬱)하게 보냈다. 어느 날 그녀가 화원(花園)에 나가서 꽃을 감상(感想)하며
우울(憂鬱)함을 달래면서 무의식(無意識)중에 함수화(含羞花)를 건드렸더니 함수화(含羞花)는 바로
잎을 말아 올렸다. 당명황(唐明皇)이 꽃을 부끄럽게 하는 아름다움에 찬탄(讚嘆)하여
그녀를"절대가인(絶對佳人)"이라고 칭(稱)하였다.
◆ 조비연(趙飛燕)"작장중무(作掌中舞)"가볍기 그지없어 손바닥 위에서도 춤을 출 수 있을 정도(程度)였다.
중국(中國)한(漢)나라 황후(皇后)조비연(趙飛燕)동서고금(東西古今)을 통(通)해서 가장 날씬한 여인(女人)으로
불렸다."나는 제비"라는 뜻으로 본 이름"조의주"대신(大臣)조비연(趙飛燕)으로 불렸다.
뛰어난 몸매에 가무(歌舞)또한 타(他)의 추종(追從)을 불허(不許)한 그녀는 한(漢)나라 성황제의
총애(寵愛)를 받아 황후(皇后)의 지위(地位)까지 오르게 된다.
한번은 황제(皇帝)가 호수(湖水)에서 선상연(船上宴)을 베풀었는데, 갑자기 강풍(强風)이 불자 춤을 추던
조비연(趙飛燕)이 휘청 물로 떨어지려 하지 않는가. 황제(皇帝)가 급(急)히 그녀의 발목을 붙잡았는데
춤의 삼매경(三昧境)에 빠진 조비연(趙飛燕)은 그 상태(常態)에서도 춤추기를 그치지 않아서
조비연(趙飛燕)은 황제(皇帝)의 손바닥 위에서도 춤을 추었다.
이런 연휴로"비연작장중무(飛燕作掌中舞)"라는 고사의 주인공(主人公)이 되기까지 했다.
이렇게 임금의 총애(寵愛)를 받은 비연(飛燕)은 세상(世上)에 못하는 것이 없었다.
그러나 그 세월(歲月)은 겨우 10년, 황제(皇帝)가 죽자 조비연(趙飛燕)은 탄핵(彈劾)의 대상(對象)이
되었고 결국(結局)평인(平人)으로 걸식(乞食)을 하다가 자살(自殺)로 그 생(生)을 끝맺고 만다.
中國의 少數民族
백족
견족 노족
동양족 러비족 고산족 덕양족
와족 마족 먼비족
부이족 어원카족 이족 뿌랑족 지노족 티베트족 요족 중국적korea인,조선족 고려족 |
/
(서시, 왕소군, 초선, 양구비, 조비연)
중국 5대 미인-초상화 &유명한 고사
물고기가 미모에 놀라 헤엄치는 걸 잊고 가라앉았다는 ‘서시’
기러기가 나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지게 만든 ‘왕소군’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는 ‘초선’
꽃이 부끄러워 잎을 말아올렸다는 ‘양귀비’
가볍기 그지 없어 손바닥 위에서도 춤을 출 수 있을 정도였다는 ‘조비연’
중국 5대 미인들의 미모에 얽힌 고사들은 워낙 유명한 이야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1) 춘추전국시대의 서시 (西施)
침어(浸魚) -서시(西施)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을 잊어먹다 "
서시는 춘추말기의 월나라의 여인이다. 어느 날 그녀는 강변에 있었는데 맑고 투명한 강물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 을 비추었다. 수중의 물고기가 수영하는 것을 잊고 천천히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 그래서 서시는 침어(浸魚)라는 칭호 를 얻게 되었다. 서시는 오(吳)나라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왕 구천(勾踐)의 충신 범려(範려)가 보복을 위해 그녀에게 예능을 가르쳐서 호색가인 오왕 부차(夫差)에게 바쳤다. 부차는 서시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치를 돌보지 않게 되어 마침내 월나라에 패망하였다.
중국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미녀로 그녀는 원래 저장 성[浙江省] 주지[諸] 저뤄 산[苧蘿山]의 서쪽에 살며 땔나무를 팔아 생계를 이었다. 오(吳)나라에 패한 월왕 구천(句踐)은 회계(會稽)의 치욕을 씻으려고 대부(大夫) 종(種)의 책략을 이용하여, 두 미녀 서시와 정단(鄭旦)을 데려와 아름다운 옷을 입히고 여러 가지 기예를 가르친 뒤 재상 범려(范
)를 사신으로 보내 오왕 부차(夫差)에게 바쳤다. 오왕은 서시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여 마침내 월에 패했다. 서시에 관한 이야기와 전설은 매우 많은데, 오나라가 망한 뒤 범려를 따라 오호(五湖)에서 놀았다고도 전해지며, 일설에는 오나라 사람이 분노하여 서시를 붙잡아 강에 빠뜨려 죽였다고 한다.

낙안(落雁) -왕소군(王昭君) "기러기가 날개움직이는 것을 잃고 땅으로 떨어지다 "
한(漢)나라 왕소군은 재주와 용모를 갖춘 미인이다. 한나라 원제는 북쪽의 흉노과 화친을 위해 왕소군을 선발하여 선우와 결혼을 하게 하였다. 집을 떠나가는 도중 그녀는 멀리서 날아가고 있는 기러기를 보고 고향생각이나 금(琴)을 연주하자 한 무리의 기러기가 그 소리를 듣고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져 내렸다. 이에 왕소군은 낙안(落雁)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폐월(閉月) -초선(貂蟬) "달이 부끄러워 얼굴을 가리다 "
초선은 삼국지의 초기에 나오는 인물로 한나라 대신 왕윤(王允) 의 양녀인데, 용모가 명월 같았을 뿐 아니라 노래와 춤에 능했다. 어느 날 저녁에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을 때에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웠다. 왕윤이 말하기를 : "달도 내 딸에 게는 비할 수가 없구나.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 고 하였다. 이 때 부터 초선은 폐월(閉月)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초선은 왕윤의 뜻을 따라 간신 동탁과 여포를 이간질 시키며 동탁을 죽게 만든후 의로운 목숨을 거둔다.

수화(羞花) -양귀비(楊貴妃) "꽃이 부끄러워 잎을 말아올림"
당대(唐代)의 미녀 양옥환(楊玉環)은 당명황(唐明皇)에게 간택되어져 입궁한 후로 하루 종일 우울했다. 어느 날 그녀가 화원에 가서 꽃을 감상하며 우울함을 달래는데 무의식중에 함수화(含羞花)를 건드렸다. 함수화는 바로 잎을 말아 올렸다. 당명황이 그녀의 ' 꽃을 부끄럽게 하는 아름다움' 에 찬탄하고는 그녀를 '절대가인(絶對佳人)'이라고 칭했다.
중국 마웨이[馬嵬].
중국 당(唐)나라 현종(玄宗 : 712~756 재위)의 귀비(貴妃). 현종이 그녀에게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자 잇달아 반란이 일어났고, 그로 인해 당조(618~907)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그녀의 이야기는 유명한 중국 시와 희곡의 주제가 되어왔다. 고관의 딸이었던 그녀는 중국 역사상 절세의 미인으로 통하는 몇몇 풍만한 체구의 여인 가운데 하나였다. 처음에는 현종 아들의 비였으나 그녀에게 매혹된 60세의 현종은 아들에게 그녀와 헤어질 것을 요구했다. 얼마 후 그녀의 두 자매도 현종의 비로 맞아들여졌고, 사촌오빠인 양국충(楊國忠)은 재상이 되었다. 돌궐족 출신의 젊은 장군 안녹산(安祿山)은 양귀비의 득세를 등에 업고 엄청난 권세를 누렸다. 그녀는 그를 양자로 맞아들였는데 실제로는 연인 사이였다는 소문도 있었다. 이처럼 든든한 배경을 지닌 안녹산은 20만 대군의 통수권을 쥐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양국충의 권세를 질투하여 황제를 배반하고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756년 반란으로 인해 수도가 점령당하자 현종과 황실은 피신해야만 했다. 도망중에 황제의 친위병들은 황실의 몰락이 양씨 )일가 때문이라고 여겨 양귀비와 양국충을 처형했다.
5)중국 한나라의 조비연
조비연(趙飛燕) - "작장중무(作掌中舞)"
'가볍기 그지 없어 손바닥 위에서도 춤을 출 수 있을 정도였다.'
중국 한나라 황후 조비연은 동서고금을 통해서 가장 날씬한 여인으로 불렸다. "날으는 제비"라는 뜻으로 본 이름 "조의주" 대신 조비연으로 불렸다. 뛰어난 몸매에 가무 또한 타의 추종을 불허한 그녀는 한나라 성황제의 총애를 받아 황후의 지위까지 오르게 된다.
한번은 황제가 호수에서 선상연을 베풀었는데, 갑자기 강풍이 불자 춤을 추던 조비연이 휘청 물로 떨어지려 하지 않는가.
황제가 급히 그녀의 발목을 붙잡았는데 춤의 삼매경에 빠진 조비연은 그 상태에서도 춤추기를 그치지 않아서 조비연은 황제의 손바닥 위에서도 춤을 추었다.
이런 연휴로 "비연작장중무(飛燕作掌中舞)" 라는 고사의 주인공이 되기까지 했다. 이렇게 임금의 총애를 받은 비연은 세상에 못하는 것이 없었다. 그러나 그 세월은 겨우 10년, 황제가 죽자 조비연은 탄핵의 대상이 되었고 결국 평인으로 걸식을 하다가 자살로 그 생을 끝맺고 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