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山神祝文 解說 (산신축문 해설)(2018년 )

광명기계쟁이 2018. 3. 27. 15:11

山神祝文 解說 (산신축문 해설)(2018년 )

 

維歲次 戊戌 二月 戊申朔  二十三日 庚午  幼學 張正基 敢昭告于

유세차 무술 이월 무신삭  이십삼일 경오  유학 장정기 감소고우

土地之神  張正基  恭修歲事于  顯高祖考  學生府君  (之墓)

토지지신  장정기  공수서사우  현고조고   학생부군  지묘

 顯 高祖妃  儒人  金海金氏  (之墓)

 현 고조비  유인  김해김씨   지묘

維時保佑   實賴神休   敢以酒饌   敬伸奠獻    尙  饗

유시보우   실뢰신휴   감이주청   경신전헌    상   향

 

병신 삼월 4일 小生 정기는 삼가 토지지신에게 아뢰옵니다.

정기는 고조부모께 공손히 시제를 올리고저. 합니다

저의 고조부모의 묘를 시절에 따라 돌봐주신 것은 토지신의 은덕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삼가 맑은술과 반찬으로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리오니 흠향하십시오.

유학 (幼學): ‘벼슬을 하지 아니한 유생(儒生)’을 이르는 말.

 공수세사우(恭修歲事于):공손히 시제를 드린다는 뜻이다.

유시보우(惟時保佑):  산신께서 보호하여 주신다는 뜻이다

실뢰신휴(實賴神休): 신령님의 은혜를 받는다는 뜻이다.

경신전헌(敬伸奠獻) :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린다는 뜻.

 

묘제축문 (2018년)

維 歲次 戊戌 二月 戊申朔 二十三日 庚午 孝5代玄孫 正吾 敢昭告于

유 세차 무술 이월 무신삭   23 일 경오 효5대현손 정오감소고우

顯 五代祖考    學生 府君     之墓

현  5대조고    학생 부군     지묘

顯 五祖妃 孺人  金海金氏   之墓    氣序流易    歲遷一祭

현 5대조비 유인 김해김씨   지묘    기서유역   세천일제

瞻掃封瑩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祗奉常事  常  響

첨소봉영  불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지봉상사  상  향

 

敢昭告于(감소고우) 밝혀서 고한다 朔 (삭) 제사달의 초하루

顯考府君(현고부군) 아버지를 존칭하는 말 謹以(근이)삼가 정성을 다한다

淸酌庶羞(청작서수)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을 드린다 尙.饗(상.향) 흠향(歆饗)하십시오

 (제물을 받으십시오) 歲序遷易(세서천역) 세월이 흘러 바뀌었다

諱日復臨(휘일부림) 돌아가신 날이 다시 오다. [아내,동생은⇒

亡日復至 (망일복지) 라고 한다. 昊天罔極(호천망극) 하늘과 같이

부모님의 은혜가 넓고 크다.(부모님 기제사 축에만 사용한다)

不勝永慕(불승영모) 영원하신 조상님의 은혜가 커서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한다

(조부이상사용) 不勝感慕(불승감모) 조상님을 사모하는 정을 이기지 못다는 뜻이다.

 追遠感時(추원감시) 돌아가신 때 를 맞아 진정한 마음으로 감동한다

 維時保佑(유시보우) 신께서 보호하여 주신다.

伏擇吉辰(복택길진)一座合祭(일좌합제) 시제를 산소에서 지내지않고 집에서 지낼 때 사용.

實賴神休(실뢰신휴) 신의 은혜를 받는다.

瞻掃封塋(첨소봉영) 산소를 깨끗이 단장하고 바라본다

履玆霜露 (리자상로)찬이슬을 밟으며(시월)白露旣降(백로기강) 찬이슬이 벌써내렸다는 뜻

恭修歲事宇(공수세사우) 삼가 공손한 마음으로 세사를 올리옵니다.

 禮有中制(예우중제)예문에도 있다(상례의 규범)

 祗奉常事(지봉상사) 공경하는(삼가) 마음으로 세사를올리다

歲遷一祭(세천일제) 해가 되어 한번의 제를 드린다.

禮有中制(예유중제) 예문에도 있다(상례의 규범)

 玆陳齋室(자진재실) 시제를 지내겠나이다.

#,,고조비(김해김씨)   증조비(김해김씨)   조비(영광김씨)